[Rust]Rust 설치
Rust 설치
https://www.rust-lang.org/learn/get-started
위의 페이지에서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하면 된다.
Rust는 다양한 IDE 에디터를 지원하고 대표적으로 VS Code, InteliJ, Eclipse, vim 등이 있다.
에디터는 VS Code 사용할 것이다.
설치를 완료하고 rustc -V
입력
- 추가로 VS Code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VS Code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오류가 나오므로 실행을 하고 재시작을 하면된다.
설치를 하게되고 간단하게 Hello, World 예제를 출력해보겠다.
main.rs 파일을 생성
fn main() {
println("hello, World!");
}
rustc main.rs
# exe로 생성되므로 exe파일 실행
.\main.exe
exe파일 실행을 하게되면 코드가 실행된다.
이전 글에서 Rust의 빌드 시스템 및 패키지 매니저인 Cargo에 대해 알아보자.
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해주고 다운로드한 라이브러리를 빌드하는 작업을 다룬다.
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설치를 하였다면 Rust와 Cargo는 함께 설치되므로 별도의 설치는 필요없다.
cargo -V를 통해 설치 확인을 할 수 있다.
cargo를 통해서 프로젝트 생성
cargo new hello_cargo --bin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cargo 프로젝트 폴더가 생기고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다.
생성을 하고보면 아래와 같은 파일 구조를 볼 수 있고 Cargo.toml로 이동하겠다.
Cargo Buildf & Apply
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빌드를 한다.
cargo build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생성되는게 아닌 target\debug\hello_cargo에 실행 파일이 exe로 생성된다.
cargo build를 하게된다면 Cargo가 최상위 디렉토리에 Cargo.lock 이라는 파일을 생성한다.
이 프로젝트는 어떠한 의존성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파일의 내용이 얼마 없으면 이 파일은 Cargo에서 내용을 관리한다.
방금은 수동으로 빌드를 하고 디버그를 하였지만 cargo run 을 사용하여 한 번의 명령어로 코드를 컴파일 후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추가로 cargo check 명령어를 제공된다. 이 명령어는 코드가 컴파일 되는지 확인여부만 확인하고 실행파일은 생성되지않는다.
cargo check 가 cargo build 보다 훨씬 빠르기때문에 사용한다. 이유는 check 명령어가 실행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스킵하기 때문이다. 그러므로 check를 사용하는게 효율적이다.
정리
- rustup을 사용하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사용
- rustc를 통해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
참고
https://rinthel.github.io/rust-lang-book-ko/ch01-02-hello-world.htm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