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DevOps

(18)
[WIN] 윈도우 실행 명령어 Windows 실행 명령어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다보면 자주 사용하게되는 명령어들이 있다. 그 중에서도 내가 자주 사용하는 실행 명령어를 정리했다. WIN + R 을 입력하여 실행 창을 띄울 수 있다. 입력 창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바로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다. cmd - 명령 프롬프트 regedit - 등록된 레지스트리 목록 보거나 수정 할 수 있는 에디터 services.msc - 컴퓨터에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관리 diskmgmt.msc - 컴퓨터에 등록된 드라이브 관리 taskschd.msc - 반복적이거나 주기적인 실행 관리
[WIN] 특정 파일명, 확장자 삭제 Windows에서 특정 파일명이나, 특정 확장자를 삭제 할 때가 있다. 이 때,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쉽게 삭제 할 수 있다. 커맨드 forfiles /P "path" /S /M *.txt /D -0 /C "cmd /C del @path" 옵션 /P 경로 /S 재귀 /M 검색 대상 /D 기간 지정 /C 각 파일에 지정된 명령어 실 적용 작업 스케줄러를 설정하게 되면 주기적으로 해당하는 파일들을 삭제할 수 있다. forfiles /P "C:\새 폴더 (2)" /S /M *.txt /D -0 /C "cmd /C del @path" /P : 경로 지정 C:\새 폴더 (2) /S : 재귀옵션을 사용하면 하위 디렉토리까지 삭제 /M : 특정 확장자 삭제는 *.txt, *.pdf, *.docx와 같이 지정하면 ..
[Linux]Cron Cron이란? 리눅스의 작업 스케줄러 : 특정 시간에 스케줄을 설정하여 원하는 시간에 작업이 작동하도록 해줌. 기본 커맨드 편집 crontab -e 출력 crontab -l 삭제 crontab -r 주기 설정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기본적으로 작성하는데 ***** test.sh ***** 분(0~59) 시간(0~24) 일(1~31) 월(1~12) 요일(0~7) 위치마다 주기를 설정 할 수 있어 순서대로 분-시간-일-월-요일 순으로 설정할 수 있다. 범위로도 지정 가능 해당 사이트에서 주기를 만들 수 있다. - https://crontab.guru/#*_*_*_*_*
[TF]Terraform 반복문 Terraform에서도 반복문은 for문을 사용한다. IAM Group과 IAM User를 생성하여 IAM User를 IAM Group에 할당시켜보자 main.tf 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 } resource "aws_iam_group" "developer" { name = "developer" } resource "aws_iam_group" "employee" { name = "employee" } output "groups" { value = [ aws_iam_group.developer, aws_iam_group.employee, ] } variable "users" { type = list(any) } resource "aws_iam_user" ..
[TF]Terraform 조건문 Terraform에서는 조건식을 지원한다. 조건식 Condition ? If_True : If_False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. 예제 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 } variable "is_jhon" { type = bool default = true } locals { message = var.is_jhon ? "Hello John!":"Hello!" } output "message" { value = local.message } 위의 코드에서 값이 True면 Hello John!을 출력하게 되고 Flase면 Hello!를 출력하게된다. 조건식을 활용한 IGW 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 } varia..
[TF]Terraform Count, Foreach IAM User 생성 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 } resource "aws_iam_user" "user_1" { name = "user-1" } resource "aws_iam_user" "user_2" { name = "user-2" } resource "aws_iam_user" "user_3" { name = "user-3" } output "user_arns" { value = [ aws_iam_user.user_1.arn, aws_iam_user.user_2.arn, aws_iam_user.user_3.arn, ] } Output 결과 소 수의 사용자의 경우 위와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 수의 사용자를 관리하기 쉽게 반복문을 사용하여 반..
[TF]Terraform Variable & Local & Output Terraform 정의 variable "vpc_name" {} module "vpc" { source = "terraform-aws-modules/vpc/aws" version = "0.24.0" name = "var.vpc_name" cidr_block = "10.0.0.0/16" } Variable를 통한 정의 variable 통해 vpc_name의 값을 입력 받는다. terraform apply를 하고 생성된 리소스를 AWS Console에서 보면 입력받은 값이 name이 된다. 환경변수를 통한 정의 운영체제 상에 환경 변수를 추가 export TF_WAR_vpc_name="test_vpc" 위와 같이 vpc name이 test_vpc가 된다. 파일을 통한 정의 terraform.tfvars 사용..
[TF] AWS Resource 생성 Terraform 코드를 통해 EC2를 생성할려고한다. 먼저 나는 awscli 설치를 하여 aws configure를 통해 access_key, secret_key를 선언하였다. Terraform 코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EC2 Instance를 생성할 것이다. 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 } resource "aws_instance" "ubuntu" { # ami Ubuntu_20.04 TLS ami = "ami-0454bb2fefc7de534" instance_type = "t2.micro" tags = { Name = "TerraformUbuntu" } } 위의 코드를 init 후에 apply를 하면 plan이 나오고 생성할 것인지 묻는다. yes를 ..